대학소개
입학
교육
연구/산학
국제화
대학생활/취업
공지
대학홍보
로그인
KOR
ENG
CHI
경북대소개
KNU연혁
KNU오늘
교육목표
대학현황
인포그래픽
총장실
인사말
총장프로필
역대총장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대구·상주캠퍼스)
의대/간호대,치대 오시는길
등교 및 셔틀버스 운행
주차안내
사이버투어
견학안내
상징
학교상징
로고 및 UI
서체
캐릭터
서식류
PPT템플릿
UI관리지침
찾기
교수, 직원찾기
전화번호안내
교내 사이트 안내
교외 사이트 안내
조직도 및 연락처
규정집/예규집
대학
수시모집
정시모집
International Admissions
공지사항
대학원
공지사항
Q&A
전문대학원
공지사항
Q&A
특수대학원
공지사항
Q&A
대학/대학원
대학 소개
대학원 소개
전문대학원 소개
특수대학원 소개
학사행정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사안내
교육과정편람
수업시간/강의계획서
수강신청
시간제등록생
교육지원
도서관
학습지원센터
학습관리시스템
IT교육센터
언어교육센터(Language Education Center)
International Writing Center
스마트러닝센터
한국어문화원
정부재정지원사업
국립대학육성사업
글로컬대학사업
지자체-대학협력기반지역혁신사업(RIS)
연구소소개
우수연구자소개
JCR 5%
HCR 상위 1%
KNU연구자정보
연구업적조회
건전학회/학술지조회
학술지검색/연구성과분석
연구산학처(산학협력단)
4단계 BK21사업
산단 통합연구행정지원시스템
공동실험실습관
진로·취업
창업교육
학생활동
총학생회/총동아리연합회
대학언론
학생지원
장학·학자금대출
복지·편의시설
학생의료공제회
장애학생지원센터
교내식당메뉴
학생상담센터
인터넷증명발급
봉사
봉사활동
자원봉사센터
학생예비군
공지사항
행사
교외행사
경북대채용
교수초빙
채용
강사채용
교육수요자만족도
뉴스
포토뉴스
KNU인물
언론으로 본 KNU
경북대웹진
경북대소식
사이버투어
캠퍼스투어신청
홍보영상
로그인
KOR
ENG
CHI
대학소개
경북대소개
KNU연혁
KNU오늘
교육목표
대학현황
인포그래픽
총장실
인사말
총장프로필
역대총장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대구·상주캠퍼스)
의대/간호대,치대 오시는길
등교 및 셔틀버스 운행
주차안내
사이버투어
견학안내
상징
학교상징
로고 및 UI
서체
캐릭터
서식류
PPT템플릿
UI관리지침
찾기
교수, 직원찾기
전화번호안내
교내 사이트 안내
교외 사이트 안내
조직도 및 연락처
규정집/예규집
입학
대학
수시모집
정시모집
International Admissions
공지사항
대학원
공지사항
Q&A
전문대학원
공지사항
Q&A
특수대학원
공지사항
Q&A
교육
대학/대학원
대학 소개
대학원 소개
전문대학원 소개
특수대학원 소개
학사행정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사안내
교육과정편람
수업시간/강의계획서
수강신청
시간제등록생
교육지원
도서관
학습지원센터
학습관리시스템
IT교육센터
언어교육센터(Language Education Center)
International Writing Center
스마트러닝센터
한국어문화원
정부재정지원사업
국립대학육성사업
글로컬대학사업
지자체-대학협력기반지역혁신사업(RIS)
연구/산학
연구소소개
우수연구자소개
JCR 5%
HCR 상위 1%
KNU연구자정보
연구업적조회
건전학회/학술지조회
학술지검색/연구성과분석
연구산학처(산학협력단)
4단계 BK21사업
산단 통합연구행정지원시스템
공동실험실습관
국제화
대학생활/취업
진로·취업
창업교육
학생활동
총학생회/총동아리연합회
대학언론
학생지원
장학·학자금대출
복지·편의시설
학생의료공제회
장애학생지원센터
교내식당메뉴
학생상담센터
인터넷증명발급
봉사
봉사활동
자원봉사센터
학생예비군
공지
공지사항
행사
교외행사
경북대채용
교수초빙
채용
강사채용
교육수요자만족도
대학홍보
뉴스
포토뉴스
KNU인물
언론으로 본 KNU
경북대웹진
경북대소식
사이버투어
캠퍼스투어신청
홍보영상
학생
통합정보시스템
통합포털서비스
인터넷증명발급
등록
학사일정
학적
학생증발급
IT교육센터
학습관리시스템
수강신청/수업시간
수업/성적
정보화서비스
국제교류
장학복지제도
체육진흥센터
취업지원
장애학생지원
조직도
전화번호안내
교직원
통합포털서비스
KORUS
웹메일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
체육진흥센터
IT교육센터
규정집/예규집
교육과정편람
교수/직원찾기
조직도
전화번호
찾아오시는길
학사일정
학사안내
정보화서비스
도서관소장검색
교내사이트안내
정보공개
예·결산회계
청렴행정
대학시설공간
종합관리시스템
동문
인터넷증명발급
대학현황
대학
대학원
전화번호
대학입학
대학원입학
교수/직원찾기
교내사이트안내
찾아오시는길
조직도
정보공개
체육진흥센터
예비경대인
입학 홈페이지
총장실
대학현황
등록
장학복지제도
교환학생
해외인턴
찾아오시는길
조직도
견학신청
교수/직원찾기
교내사이트
전화번호
체육진흥센터
통합정보시스템
통합포털
KORUS
도서관
발전기금
대학홍보
대학홍보
대학홍보
뉴스
뉴스
경북대웹진
경북대소식
사이버투어
캠퍼스투어신청
홍보영상
포토뉴스
포토뉴스
KNU인물
언론으로 본 KNU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글쓰크기 확대 및 축소, 프린트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포토뉴스
전자공학부 강순주 교수 제자들 모교에 발전기금 1,510만 원 전달
전자공학부 강순주 교수의 제자들이 모교 발전을 위해 써달라며 발전기금 1,510만 원을 전달했다. 발전기금 전달식은 2일 경북대 본관 총장실에서 열렸다. 이번 발전기금은 강 교수의 실시간시스템연구실 출신 제자들이 뜻을 모아 마련했다. 전달된 발전기금은 ‘IT대학 기금’으로 적립되어 경북대 IT대학의 교육 환경 개선과 연구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강순주 교수는 “졸업한 뒤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온 제자들이 이렇게 모교를 기억해줘 고맙다. 이들의 뜻이 IT 분야 후학 양성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사진설명: 강순주 교수(왼쪽 두 번째), 허영우 총장(왼쪽 세 번째)과 실시간시스템연구실 출신 제자들인 박성호 박사, ㈜이지아이 우동균 대표이사, 김응협 박사
2025-07-02
경북대 대학원생과 학부생 각각 ‘2025 지리학대회’서 우수포스터발표상 수상
지리학과 석사과정 서민석 학생과 학석사연계과정 최민정 학생이 대한지리학회가 주관하고 국제지역학회 등 21개 국내외 학술단체와 국립통일교육원 등 16개 유관 기관이 공동 주최하는 지리학 분야 국내 최대 학술행사인 ‘2025 지리학대회’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하며, 상장과 상금을 수여받았다. 서민석 학생은 「TerEx tool을 활용한 하안단구 지형 분류의 적용과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연구에는 오정식 교수(지리학과)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해당 연구는 지진 유발 단층으로 알려진 활성단층의 조사와 추적에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하안단구 지형 분석의 과학적 신뢰성과 객관성 그리고 분석 결과의 재현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의 국내 적용을 시험하고 그 가능성을 제안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서민석 학생은 경북대 융복합시스템공학부 항공위성시스템전공으로 학사 학위 취득 후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하여 학부와 대학원 전공 간 융·복합 연구를 실체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또 다른 수상자인 최민정 학생은 「비수도권 대졸자의 생애주기 단계 기반 이동경로 유형화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대졸 청년층의 생애주기 단계(출생지, 고교, 대학, 첫 직장, 현재 거주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유형화하고, '정착형', ‘귀향형’과 ‘이주형’의 사회적 특성과 지역별 분포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역 인재 유출·귀환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연구에는 김지근 교수(심리학과)와 이재현 교수(지리학과)가 공동저자로 참여해 우리 대학의 학제 간 융·복합 연구 역량을 보여줬다. 2025 지리학대회는 지난 6월 27일과 28일 양일간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되었으며, 시상식은 28일 폐막식과 함께 수행되었다. 지리학과 학과장 오정식 교수는 “이번 수상은 전공과 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도전적이고 실천적인 융·복합연구를 수행하는 우리 대학 학문 후속 세대의 가능성과 역량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고 의미 있는 성과”라고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서민석 학생, 최민정 학생>
2025-07-02
경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 QS 세계대학 학문분야별 평가 농업 및 임업분야 세계 111위, 국립대 1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학장 정희영)은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최근 발표한 「2025 QS 세계대학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농업 및 임업 분야에서 세계 111위, 국립대학 1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고 2일 밝혔다. ‘QS 세계대학 학문분야별 평가’는 전 세계 대학을 대상으로 ▲학계 평판도, ▲졸업생 평판도, ▲논문당 피인용 수, ▲H-인덱스, ▲국제공동연구력(IRN) 등 5개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순위를 매기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대학평가 시스템이다. 농업 및 임업분야에서 국내 국립대학이 QS 세계 150위권에 진입한 사례는 드물다. 이번 평가에서 경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은 ‘글로벌 Top 150위권’에 선정되면서 국내 대학 중 전체 3위, 국립대 1위를 차지하며 연구 역량과 교육 수준의 국제적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경북대 농생명과학대학은 지난 1944년 대구농업전문학교로 시작한 이래 80여 년간 농림부 장·차관(제36대 농수산부장관 박종문, 제47대 농림부 차관 박해상), 대학총장(제15대 총장 김달웅), 노벨상 후보자(김순권 박사) 등 2만여 명의 농업전문가를 배출하며 대한민국 농산업 발전을 이끌어 왔다. 올해로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를 맞아 다가오는 9월, 기념행사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준비중이다. 특히 이번 세계대학평가 순위는 교수진의 뛰어난 연구업적과 교수 역량뿐만 아니라, 국내 해당 분야에서 친환경농업교육·연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농산업정보센터, 스마트팜 건립 등 최첨단 교육·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글로벌 농업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농식품생명과학 분야의 교육·연구 중심 거점대학으로서 노력한 결실로 평가되고 있다. <사진: 농업생명과학대학 정희영 학장>
2025-07-02
경북대, 80년사 편찬위원회 출범… 내년 개교 80주년 기념 역사 정리 본격화
경북대학교는 6월 30일 경북대 중앙도서관 1층 다목적실에서 ‘경북대학교 80년사 편찬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편찬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편찬 사업은 내년 개교 80주년을 앞두고 대학의 역사와 정체성을 정리하고, 학문적 성과와 지역사회에 기여해 온 발자취를 조명하기 위한 기념사업의 일환이다. 경북대는 단순한 연대기적 기술을 넘어 학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사 편찬을 통해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역사적 디딤돌’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출범식은 편찬실 제막, 편찬위원 위촉장 수여식, 편찬 일정 및 계획 안내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80년사 편찬위원회는 공동위원장 2인, 기획위원 6인, 집필위원 10인, 감수위원 5인, 자료수집 및 실무지원 위원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다. 공동위원장은 이시철 교학부총장과 윤재석 사학과 교수가 맡았으며, 윤 교수는 집필위원장도 겸한다. 편찬 작업은 철학, 문학, 의학, 법학, 교육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진이 참여해 학문적 전문성과 교차 검토를 바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편찬본은 통사(通史) 형식의 ‘경북대 80년사’와 시각 자료 중심의 ‘자료와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경북대 80년(국문·영문판)’으로 구성된다. 내년 5월 발간 예정으로 종이책과 함께 E-book 형태로도 제작돼 대학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허영우 총장은 “이번 80년사 편찬 작업은 대학 구성원들의 열정과 시대적 사명을 학술적으로 조명하는 소중한 기회이다. 우리 대학의 역사를 기반으로 발전적 미래를 설계하는 데 꼭 필요한 자양분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2025-07-01
경북대, ‘BioNext 2025’ 기초과학 심포지엄 성료… 젊은 생명과학자 48인 한자리에
경북대 G-램프(LAMP)사업단은 최근 경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와성홀에서 ‘BioNext 2025: A New Wave of Bioscience Led by Young Innovators(젊은 혁신이 이끄는 생명과학의 새 물결)’라는 주제로 기초과학 심포지엄 및 포럼을 개최했다. 전국의 젊은 생명과학 교수 48인을 초청해 진행한 이번 심포지엄은 단순한 연구 발표회를 넘어, 차세대 생명과학 리더들의 지성과 창의성을 한데 모아 새로운 협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으로 기획됐다. 올해 심포지엄은 기초 I, II 및 응용 생명과학 I, II 등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했다. 기초생명과학의 원리 탐구부터 실제 응용 연구와 신약개발 전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 주제를 폭넓게 다뤘다. 특히, 기초와 응용의 연결고리를 강화해, 기초과학 성과가 산업과 의료로 이어지는 전주기적 가치 사슬을 조망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경북대 G-램프사업단은 기초과학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신진 연구자들의 자율적인 성장 기반 마련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방향성을 구체화한 핵심 행사로 평가된다. 심포지엄을 주관한 이현식 G-램프사업단장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행사라는 점에서 지속성과 발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의미 있는 자리였다. 실험실 안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꾸는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젊은 과학자들의 도전과 창의성이 존중받고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번 포럼이 젊은 연구자들 간의 열정과 통찰을 연결하고, 미래 생명과학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협력의 씨앗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2025-07-01
경북대 대학원생, ‘2025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서 고용노동부 장관상 수상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계량심리연구실 소속 학석사연계과정생 이도현 학생이 한국고용정보원이 주최한 ‘2025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에서 최우수상인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상금 300만 원을 수여받았다. 해당 학술대회는 국내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용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공모하는 논문 경진대회로, 총 28편의 논문이 출품되었다. 이도현 학생은 「청년층의 성별 임금 불평등: 메타러닝 기반 인과관계의 이질성 탐색」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메타러닝을 활용한 고급 인과추론 기법을 통해 청년층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 불평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임금 격차가 개인의 능력이나 조직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규명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상식 및 발표회는 지난 6월 20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개최되었으며, 관련 영상은 추후 학술대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지도 교수인 심리학과 박중규 교수는 “학생 스스로 문제의식을 갖고 적합한 방법을 탐색하여 실제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연구를 완성해 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2025-07-01
스마트생물산업기계공학과 홍석주 교수팀, 농산물 결함 조기검출을 위한 형광 초분광 영상기술 개발
JCR 분야 상위 0.4% 저널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게재
스마트생물산업기계공학과 홍석주 교수 연구팀은 형광 초분광영상(fluorescence hyperspectral image)을 활용하여 농산물(감귤)의 결함을 조기에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농산물의 멍, 긁힘, 변색, 병해 등 다양한 결함은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이며, 이를 자동화하여 선별하기 위한 영상 기반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멍 등 초기에 육안으로 분별이 어려운 일부 결함의 경우 일반적인 RGB 영상 기반의 선별기술로는 검출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형광 초분광영상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초기 단계의 결함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농산물의 결함 영역을 시각화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확 후 농산물 선별 공정의 자동화와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와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으며, JCR 분야 상위 0.4%에 해당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에 「형광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농산물(감귤) 멍 탐지 및 분류(Deep learning approaches for bruised mandarin orange classification by fluorescence hyperspectral imaging)」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2025-07-01
의생명융합공학과 박정우 교수, 레이저 한 번, 손안의 장비로 몸속 본다
경북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과 박정우 교수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김철홍 교수 공동연구팀이 최근 손바닥 크기의 작은 장비로도 병원급 정밀 검사가 가능한 ‘반투명 초음파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광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Laser & Photonics Reviews에 게재되었으며, 이 저널은 Impact Factor 10.0, JCR 기준 광학(Optics) 분야 상위 7.6%에 해당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다. 지금까지 몸 속을 정밀하게 보려면 두 가지 검사를 따로 받아야 했다. 혈관처럼 피가 흐르는 부분을 보는 ‘광음향 영상(Photoacoustic Imaging, PAI)’과 연조직이나 뼈 같은 조직의 모양을 보는 ‘초음파 영상’이 그것이다. 광음향 영상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이 레이저 빛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열팽창하면서 초음파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둘을 결합하면 훨씬 더 정밀하고 종합적인 진단이 가능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복잡한 장비와 고전압 초음파 발생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반투명 초음파 센서(sTUT, semi-transparent ultrasound transducer)’는 이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했다. 레이저 빛이 센서에 닿으면 일부는 센서 자체가 흡수되어 광유도 초음파(Laser-Induced Ultrasound, LUS)를 만들고, 나머지는 그대로 통과하여 몸속에 도달해 혈관에서 광음향(PA) 신호를 만든다. 쉽게 말해, 레이저 하나로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얻는 ‘일석이조’ 기술이다. 마치 하나의 카메라로 일반 사진과 적외선 사진을 동시에 찍는 것과 같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적용해 손에 들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장비를 만들고, 이를 실험용 쥐의 뇌, 장기, 피부에 적용해 50 마이크로미터(μm) 이하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사람 손바닥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혈관 분포뿐 아니라 표피–진피–피하층에 이르기까지 피부 각 층이 마치 양파껍질을 한 겹씩 벗겨낸 듯 또렷하게 구분되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재 다양한 차세대 휴대형·현장형 생체 영상기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경북대 박정우 교수, 포스텍 김철홍 교수>
2025-06-30
화학과 이규의 교수, 영국왕립화학회 ‘차세대 우수 연구자’ 선정
화학과 이규의 교수가 세계적 권위의 영국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 RSC)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Nanoscale』의 2025년 ‘차세대 우수 연구자’(Emerging Investigators)로 선정되어, 연구 성과와 인터뷰 내용이 공식 홈페이지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개되었다. 『Nanoscale』의 ‘차세대 우수 연구자’ 시리즈는 전 세계 나노과학 분야에서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연구자들을 매년 선정하여 우수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이규의 교수는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폴리도파민을 이용한 약물 기반 골 조직 재생’ 연구로 나노 생체소재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시리즈에 선정되었다. 이번 선정을 통해 이규의 교수의 연구 내용은 영국왕립화학회의 공식 LinkedIn과 Facebook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널리 홍보되었으며, 경북대 연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규의 교수는 “이번 선정 소식을 대학 구성원과 함께 나누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나노 생체소재 연구 분야에서 더욱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2025-06-30
경북대-ETRI, 유니코어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개최
대학-출연연 공동연구 성과 기반 기술이전 및 공동사업화 협력 본격화
경북대학교(총장 허영우)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6월 25일 경북대 글로벌플라자 경하홀에서 ‘경북대-ETRI 유니코어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경북대–ETRI 학연협력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양 기관이 공동연구를 통해 발굴한 우수 기초(원천)기술 및 응용기술 중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지역 산업계에 소개하고,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지역 기업 관계자와 경북대 및 ETRI 연구자, 기술이전 담당자 등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 첨단로봇, 미래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반도체 등 다양한 첨단 분야의 기술 발표와 수요기업 맞춤형 기술상담이 진행됐다. 특히 이번 설명회는 기술이전 단계에 그치지 않고, 기술 실증과 창업, 투자 연계까지전주기 사업화 모델을 지향하며, 상담 기업의 기술 수요를 반영한 공동 연구개발 및 시제품 제작 등 후속 협력 방안도 활발히 논의했다. 행사를 주관한 경북대–ETRI 대경권 학연플랫폼사업단 총괄연구책임자 경북대 박춘욱 교수는 “이번 설명회는 양 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단순한 연구 성과에 그치지 않고, 현장 수요에 기반한 문제 해결형 기술로 실증하고 실질적인 사업화로 이어지기 위한 실천적 출발점이다. 앞으로도 경북대와 ETRI는 지속적인 공동연구, 기술이전, 창업 및 투자지원 등 전주기 통합형 산학연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정주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산업과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2025-06-27
경북대, ‘솔잎혹파리 천적 방사지’ 현장토론회 개최
경북대 수목진단센터는 경북대 산림병해충 전과정 대응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사업단(단장 박주원),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원장 전영수)과 공동으로 6월 25일 경북 영덕군 강구면 일원에서 대학원생, 연구자를 대상으로 ‘솔잎혹파리 천적방사지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김진우 박사팀이 솔잎혹파리의 천적 기생봉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에 대해 소개했다. 참가자들은 침엽이 짧아지고 벌레혹이 형성된 쇠약한 소나무 군락지에서 천적 기생봉인 솔잎혹파리먹좀벌 성충이 방사되는 현장을 직접 관찰하며 생태적 방제의 중요성을 직접 확인했다. 센터장 김기우 교수는 “솔잎혹파리는 우리나라 특히 경상북도, 강원도 산림에 오래전부터 큰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이다. 숙주인 솔잎혹파리의 알에 산란하는 천적인 솔잎혹파리먹좀벌의 생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친환경 방제법을 고도화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연구다.”라고 밝혔다.
2025-06-27
경북대 미식축구부, 대구·경북 춘계리그 전승 우승
경북대학교 미식축구부 ‘오렌지 파이터즈’(주장 조현영, 원예학과 / 감독 박경규 명예교수)가 2025년 대구·경북 춘계리그에서 전승 우승을 거두며 5년 만에 다시 정상에 올랐다. 경북대는 대구·경북 지역 10개 대학 가운데 1부 리그에 속한 팀으로, 이번 대회에서 경일대를 34-0, 대구한의대를 54-0으로 완파하고, 대구가톨릭대와의 경기에선 기권승, 한동대와의 경기에서는 34-20의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를 거두며 총 4경기 전승으로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번 대회의 MVP는 역사학과 이효원이 수상했다. ‘오렌지 파이터즈’는 1983년 창단돼 올해로 42년의 전통을 자랑하며, 1998년에는 전국대회인 김치보울에서 우승한 바 있다. 특히 2019년까지 대구·경북 지역 리그 39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으나 이후 잠시 침체기를 겪었다. 그러나 올해 다시 팀의 조직력과 실력을 바탕으로 5년 만에 춘계리그 정상에 올랐다. 경북대 미식축구부는 오는 가을 전국대회 우승을 목표로 강도 높은 훈련을 이어가고 있다.
2025-06-27
게시판 검색
제목
작성자
내용
<<
<
1
2
3
4
5
>
>>